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0년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근종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 - 후향적 연구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홍대기, ,정민지,김보섭,이정미,조영래,이택후,전상식

Risk Factors Related to Uterine Leiomyoma in Korean Women - A Retrospective Study -

D.G. Hong, M.J. Chung, B.S. Kim, J.M. Lee, Y.L. Cho, T.H. Lee, S.S. Chu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Korea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근종 발생과 관련된 인자를 찾고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경북대학교병원을 정기 검사 및 산부인과 질환을 가진 환자로 치료를 위해 방문한 환자 중 외과적 또는 초음파검사상 자궁근종이 진단된 244명 과 자궁근종이 없는 269명을 대조군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는 의료기록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통계분석은 χ2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다변량분석상 나이, 인공유산 횟수, 음주는 자궁근종 발생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수유기간에 따라서는 그와 반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BMI, 분만력, 초경 나이, 월경기간 및 간격, 카페인 섭취, 결혼 상태는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이번 연구는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근종 발생에 관련된 인자에 대한 첫 후향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지지만, 한국인 여성에서의 구체적인 발생인자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여성에서의 자궁근종의 발생인자에 대한 향후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isk factors related to uterine leiomyoma in Korean women and to compar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western studi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All the cases of uterine leiomyoma (n=244) were diagnosed surgically or sonographically between Jannuary 1998 and December 2004. Total of 269 controls not having uterine leiomyom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visite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routine gynecologic check-up or treatment of their gynecologic or obstetric diseases other than uterine leiomyom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view of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s and analyzed with χ2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In multivariate analysis, patient's age (OR 1.070; 95% Cl 1.041~1.099), number of artificial abortion (OR 1.182; 95% Cl 1.018~1.374) and alcohol drinking (OR 1.865; 95% Cl 1.231~2.824)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uterine leiomyoma. The duration of lactation was the only factor which had negative correlation (OR 0.985; 95% Cl 0.972~0.998). BMI, parity, age at menarche, the duration and interval of menstruation, caffeine consumption and marital status did not show any correl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patient's age, number of artificial abortion, and alcohol drinking were the risk factors of uterine leiomyoma in Korean women and the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western studies. Though we couldn't find out the specific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uterine leiomyoma in this study, but it has a great meaning to be the first trial in Korean women. The role of information bias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and further multicentered, randomized, controlled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to know the possible risk factors among Korean women.

키워드 : Uterine leiomyoma, Risk factor, Korean women

교신저자 : sschun@mail.knu.ac.kr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