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4권 제3호 2010년

불임시술의 전환이 정액상태에 미치는 영향

1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김용진1, 지병철1,서창석1,2,김석현2

Effects of Conversion of Infertility Treatment on Semen Quality

Yong Jin Kim1, Byung Chul Jee1, Chang Suk Suh1,2, Seok Hyun Kim2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2

목 적: 불임 부부에서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연속하여 시행한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및 전환하여 시행한 체외수정시술이 정액검사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진단적 목적으로 컴퓨터정액분석기를 이용한 정액검사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를 시행한 후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였으나 임신에 실패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38예의 환자에서는 두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였고 (Group 1), 15예의 환자에서는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였다(Group 2). 이들에서 두 번째 불임시술을 위해 채취한 정액의 양 (volume), 정자의 농도 (concentration), 운동성 (motility), 총운동성정자수 (total motile sperm count) 등의 컴퓨터정액분석소견을 이전에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 시행한 정액검사 소견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 불임 부부간의 남편 연령, 첫 번째 시술과 두 번째 시술 사이의 시간 간격, 불임의 원인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roup 1에서 첫 번째 시행 시의 정액검사소견의 정상 여부와 관계없이, 정자의 운동성은 첫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보다 두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roup2에서는 첫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보다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농도, 정자의 운동성, 총운동성정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roup 2의 하위그룹 분석에서는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 정상 정액소견을 보인 경우는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농도와 총운동성정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 비정상 정액소견을 보인 경우에는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운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임신에 실패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게 된 환자의 정액검사소견은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을 계속 시행 받은 환자군에 비해 더 악영향을 받는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whether semen parameters in infertile couples who undergone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hange in the subsequent IUI cycle and the subsequent in vitro fertilization (IVF) cycle. Methods: Fifty-three infertile couples who had failed to become pregnant after the first IUI cycle with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 were included. After the first IUI, thirty-eight couples underwent the second IUI (Group 1), and fifteen underwent IVF-ET procedure (Group 2). All semen parameters including semen volume, concentration, motility and total motile sperm count were analyzed in the second IUI or IVF-ET procedure for comparison with the result of first IUI.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sband ag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cedure and cause of infertility. In Group 1, only sperm motility at the time of the latter IU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compared to the former IUI irrespective of the first semen parameters. In Group 2, sperm concentration, motility and total motile sperm count at the time of subsequent IVF were lower than the former IUI. By sub-analyses of Group 2, in the group of optimal semen parameter at IUI cycle, sperm concentration and total motile sperm count at the time of subsequent IVF were lower than the former IUI, while in the group of suboptimal semen parameter at IUI cycle, only sperm motility at the time of subsequent IVF were lower than the former IUI. Conclusion: The semen parameters in couples converted to IVF cycle were more adversely affected than those remained in IUI cycle. Further study on psychological stress should be necessary to explain the reason. [Korean. J. Reprod. Med. 2007; 34(3): 159-166.]

키워드 : IVF, IUI, Semen analysis, CASA (체외수정시술,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정액검사소견, 컴퓨터정액분석)

교신저자 : suhcs@snu.ac.kr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