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7권 제1호 2010년

체외수정시술 환자에서 황체기 보강 시 근주 투여와 경구 투여의 연속적 이용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2

김상돈1, 지병철1,2*, 이정렬1, 서창석1,2, 김석현2, 문신용2,

Sequential use of Intramuscular and Oral Progesterone for Luteal Phase Support in in vitro Fertilization

Sang Don Kim1, Byung Chul Jee1,2*, Jung Ryeol Lee1, Chang Suk Suh1,2, Seok Hyun Kim2, Shin Yong Moon2

1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목  적: 체외수정시술 시 황체기 보강은 근주, 경질, 경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경구 투여법은 환자의 순응도가 높고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체기 보강을 근주로 시작하여 경구 투여로 전환하는 방법의 효용성과 전환 시기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3년 9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배아 이식 후 태아 심박동까지 확인된 76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배란유도는 GnRH agonist long protocol (n=7) 또는 GnRH antagonist protocol (n=66)을 이용하였으며 3주기에서는 냉동배아 이식을 시행하였다. 황체기 보강을 위하여 난자 채취일부터 매일 progest in oil 50 mg을 근주하였고, 태아 심박동이 확인된 후 임신 6~7주 (n=17) 또는 8주 이후 (n=59)에 micronized progesterone (Utrogestan, Laboratoires Besins International, France) 300 mg을 매일 경구로 투여하였다. 결  과: 대상군 전체의 유산율은 3.9% (3/76)이었으며, 경구 투여 전환시의 임신 주수는 평균 8주 4일 (난자 채취일로부터 46±5.8일)이었다. 황체기 보강을 임신 6~7주 사이에 경구 투여로 전환한 17주기 중에서 1례의 자연유산이 확인되었으며 유산 시 주수는 9주 4일이었다. 8주 이후에 경구 투여로 전환한 59주기 중에서는 2례의 자연유산이 확인되었으며 (11주 3일, 11주 4일), 두 군의 자연유산율은 각각 5.6%와 3.4%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678). 결  론: 체외수정시술 후 황체기 보강을 시행하는 경우 태아 심박동이 확인된 이후에 근주 투여를 경구 투여로 전환하는 방법은 비교적 낮은 유산율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8주 이전에 전환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ppropriate time to convert intramuscular progesterone support to oral administration for luteal phase support in in vitro fertilization (IVF). Methods: Seventy-six cycles of IVF in which fetal heart beat was identified after treatment were included. Patients underwent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with GnRH agonist long protocol (n=7) or GnRH antagonist protocol (n=66). Cryopreserved embryo transfer was performed in three cycles. Luteal support was initiated by daily intramuscular injection of progesterone, and after confirmation of fetal heart beat, converted to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Utrogestan, Laboratoires Besins International, France) 300 mg daily before or after 8 gestational weeks. The oral progesterone was continued for 11 weeks. Results: Overall clinical abortion rate was 3.9% (3/76) and mean time to conversion was 8+4 gestational weeks (46¡¾5.8 days after oocytes retrieval). The abortion rate was 5.6% (1/17) and 3.4% (2/59) in patients with conversion before 7 weeks and after 8 weeks,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678). The miscarriages were occurred at 9+4 weeks, 11+3 weeks and 11+4 weeks. Conclusion: Sequential luteal support using intramuscular and oral progesterone yields a relatively low clinical abortion rate. If fetal heart beat confirmed, sequential regimen appears to be safe and convenient method to reduce patients' discomfort induced by multiple injections.

키워드 : 황체기 보강, 경구 프로게스테론, 체외수정시술. Luteal phase support, Oral progesterone, In vitro fertilization

교신저자 : blasto@snubh.org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