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7권 제4호 2010년

전핵 시기에서의 수정란 동결이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누적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생식생물학 및 불임연구실1, 산부인과2

김묘경1·이선희1·최수진1·최혜원1·박동욱1·임천규1·송인옥2·이형송1*,

Effect of Cryopreservation of Sibling 2PN Zygotes on Cumulative Delivery Rates in the Human IVF-ET Program

Myo Kyung Kim1, Sun-Hee Lee1, Su Jin Choi1, Hye Won Choi1, Dong-Wook Park1, Chun Kyu Lim1, In Ok Song2, Hyoung-Song Lee1*

1Laboratory of Reproductive Biology & Infertility, 2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eil General Hospital and Women's Healthcare Center, Kwando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목 적:
본 연구에서는 10개 이하의 2PN 접합자를 얻은 환자군에서 전핵 단계 배아의 동결보관이 누적 분만율을 증가시키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터를 내원하여 과배란 유도에 의해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술을 시행한 주기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체외수정법 또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을 이용하여 수정을 시도한 후 20~22시간에 8개의 수정란을 확인하거나, 또는 전핵이 1개만 보이는 접합자와 발달 지연 배아를 포함하여 수정란이 10개 미만인 138주기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주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을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그룹 I (n=86)은 배아의 동결 없이 모든 수정란을 배양하여 3일째 이식한 군으로 하였 으며, 그룹 II (n=52)는 전핵 시기에 일부 수정란을 동결하고 나머지를 배양하여 3일째 이식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간 신선배아 이식주기와 그 다음 동결-해동 이식주기 후의 임상적 임신율과 누적 임신율을 각각 비교하였다.

결 과:
비교 대상군 사이에 여성의 평균 나이, 획득 난자의 수 및 수정란의 수에서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배양된 배아의 수는 그룹 II (5.2±0.5)가 그룹 I (8.4±0.7)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p<0.01). 또한 이식한 배아의 수 역시 그룹 II (3.3±0.6)가 그룹 I (3.6±0.6)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p<0.01). 신선주기 배아이식에서 β-hCG 양성을 보인 환자 수와 분만을 한 환자의 수는 그룹 I이 그룹 II에 비하여 약간 높은 양상을 보였다 (51.2 vs. 46.2% and 41.9 vs. 34.6%). 동결-해동 배아이식 후 누적 분만율을 비교하였을 때 그룹 I (48.8%)과 그룹 II (5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적은 수의 수정란을 얻은 환자군에서 일부 전핵 단계에서의 동결보관이 누적 분만율을 향상 시키는 효과 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일부 수정란의 동결보관은 해당 신선주기에서 임신에 실패하였을 경우 환자에게 추가 적인 배아이식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whether cryopreservation of sibling 2PN zygotes could increase the cumulative delivery rates in the patients who had less than 10 fertilized zygot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38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 cycles with less than 10 fertilized zygotes during January 2003 to December 2007 in Cheil General Hospital. These cyc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Group I (n=86), all fertilized embryos were cultured to transfer on day 3 without cryopreserved embryos at the 2PN stage. In Group II (n=52), among fertilized zygotes, some sibling zygotes were frozen at the 2PN stage, the remainder were cultured to transfer. Clinical outcomes in fresh ET cycles and cumulative ongoing pregnancy rates after subsequent frozen-thawed (FT)-ET cycles were compar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male mean ag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and total fertilized embryos between two groups. Number of cultured embryo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I (5.2±0.5) than in Group I (8.4±0.7) (p<0.01). Also,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I (3.3±0.6) compared with Group I (3.6±0.6) (p<0.01). β-hCG positive rates and delivery rates (51.2 vs. 46.2 % and 41.9 vs. 34.6 %, respectively) after fresh ET were slightly high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cumulative delivery rates after subsequent FT-ET cyc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I (48.8%) and Group II (50.0%).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ryopreservation of sibling 2PN zygotes from patients who had less than 10 zygotes in the fresh ET cycles did not increase cumulative delivery outcomes. But, it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choice for patients due to offering more chance for embryo transfers if pregnancy was failed in fresh IVF-ET cycles.

키워드 : Cryopreservation, PN zygotes, Frozen-thawed embryo transfer, Cumulative delivery rates, 동결보관, 전핵 시기 배아, 동결-해동 배아이식, 누적 분만율

교신저자 : hslee999@gmail.com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