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3권 제1호 2010년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 액내 IL-6와 TNF-α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진단검사의학과학교실*

강정배, ,이영경*

A Study of Altered IL-6 and TNF-α Expression in Peritoneal Fluid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Jeong Bae Kang, Young Kyeong Le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Laboratory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yang, Korea

목 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인 면역학적 인자 중 세포-매개성 면역계의 변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의 복강 액을 채취하여 면역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IL-6와 TNF-α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확진된 환자 또는 불임검사를 위해 진단적 복강경을 시행한 34명을 연구군으로 등록하였으며 본 연구 이전에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거나 복강경 시술이나 개복수술과정에서 자궁내막증 소견과 증상이 없는 환자 3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 군의 복강 액을 추출한 다음 30분 이내에 400 g × 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검사용기에 모아 밀봉한 후 -70℃ 냉동실에 보관하여 IL-6와 TNF-α의 농도를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R & D Systems, Minnepolis, MN)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복강 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연구군에서는 38.9±19.7 pg/ml으로 대조군의 22.4±10.2 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2), TNF-α의 농도도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20.6±8.6 pg/ml로 대조군의 6.2±3.5 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2.자궁내막증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에서 IL-6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1), TNF-α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IL-6은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p=0.03), TNF-α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4. IL-6과 TNF-α 모두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병기 I과 II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병기 III과 IV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증인 환자의 복강 액에서 IL-6와 TNF-α가 증가하여 자궁내막증의 생성과 유지,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불임의 유발 요인으로 여겨지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자궁내막증과 각종 cytokine과의 상호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nfertile women. Methods: This study is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enrolled thirty-four women with lapa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and thirty-seven women with no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levels in peritoneal fluid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mong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with infertile and fertile women, and then also compared according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s: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matched normal controls. Cyclic variations in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peritoneal fluid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among of infertile women than in fertile wome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ncentrations and endometriosis stage III and IV was noted. Conclusion: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 to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키워드 : Endometriosis,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교신저자 : kjb0001@hallym.or.kr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