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27권 제2호 2010년

생쥐 배아의 체외배양 시 착상과정에 대한 난관수종액의 영향

성균관 의과대학교 삼성제일병원, 생식생물학 및 불임연구실;성균관 의과대학교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성균관 의과대학교 삼성제일병원, 생식생물학 및 불임연구실;성균관 의과대학교 삼성제일병원, 생식생물학 및 불임연구실;성균관 의과대학교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

전진현;궁미경;임천규;김수경;강인수;,

Effect of Hydrosalpingeal Fluid on the Implantation in-vitro in a Murine Model

Jun, Jin-Hyun;Koong, Mi-Kyoung;Lim, Chun-Kyu;Kim, Soo-Kyung;Kang, Inn-Soo;

Laboratory of Reproductive Biology and Infertility,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Department Ob/Gyn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Laboratory of Reproductive Biology and Infertility,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Laboratory of Reproductive Biology and Infertility,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Department Ob/Gyn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연구목적: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난관수종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과 착상률이 감소된다는 보고들이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배아를 이용한 체외 착상모델에서 인간의 난관수종액(HSF)이 착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난관수종액은 난관수종으로 수술을 받은 8명의 환자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생쥐의 포배기 배아는 2-세포기배아를 3일 동안 배양하여 그 중 상태가 양호한 포배기 배아만을 선별하여 투명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기본 배양액으로는 Ham's F-10을 사용하였으며, 배양 시 기본 배양액만을 사용한 경우를 group Ⅰ으로 하였고, 기본 배양액에 0.5% FBS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Ⅱ, 0.5% FBS와 50% HSF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Ⅲ , 100% HSF에 0.5% FBS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Ⅳ,100% HSF만을 사용한 경우를 group Ⅴ로 하였다. 투명대를 제거한 포배기 배아를 각각의 HSF에 대한 5종류의 배양액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체외 착상 유무는 부착 부위에서 크기가 커진 영양세포들을 관찰하여 판정하였으며, 착상 부위의 표면적은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결 과: 생쥐 배아의 체외 착상률은 group Ⅰ, Ⅱ, Ⅲ, Ⅳ, Ⅴ에서 각각 0%, 98.9%, 77.5%, 40.4%, 10.0%로 나타났으며, 착상 부위의 평균 표면적은 group Ⅱ, Ⅲ, Ⅳ, Ⅴ에서 각각 $74,675{\pm}25,201{\mu}m^2$, $59,024{\pm}25,877{\mu}m^2$, $45,156{\pm}22,654{\mu}m^2$, $38,254{\pm}17,115{\mu}m^2$이었다. 체외 착상률과 부위의 표면적은 HSF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결론:인간의 난관수종액(HSF)은 생쥐 배아의 체외 착상과 영양배엽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원인이 난관수종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낮은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등록된 영문 초록이 없습니다.]

키워드 :

교신저자 :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