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7권 제2호 2010년

성호르몬과 안질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1,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3,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4

김진주1,2, 유형곤3, 구승엽1,4*,

Sex Steroid Hormone and Ophthalmic Disease

Jin Ju Kim1,2, Hyeong Gon Yu3, Seung Yup Ku1,4*

1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Healthcare System Gangnam Center, 3Department of Ophthalm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4Institute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Medical Research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성호르몬은 lacrimal system, corneal anatomy and disease, aqueous humor dynamics and glaucoma, crystalline lens and cataract, retinal disease를 포함한 안과영역의 다양한 부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Androgen은 전신에 걸친 sebaceous glands의 발달, 분화, 지질생성 등에 관여하므로 androgen deficiency는 meibomian gland의 기능장애와 건성안에서 증발을 더욱더 심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estrogens은 sebaceous glands의 크기, activity, 지질생성을 감소시켜 meibomian gland에서는 androgen과 반대되는 작용을 할 가능성이 있다. 성호르몬은 또한 각막의 구조와 질병경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각막이 월경주기 제2일째 및 배란주위기에 두꺼워지며, 폐경 여성에서 여성호르몬 치료 시 각막두께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estrogen levels과 각막 두께와의 연관을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하겠다. Fuch's dystrophy 역시 폐경 후 여성에서 더 흔히 관찰되어, 나이에 따른 호르몬 변화가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vernal keratoconjunctivitis 환자의 각막조직에서는 estrogen과 progesterone 수용체의 overexpresson이 발견되어 역시 이들 질환에서의 성호르몬의 역할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겠다. 성호르몬은 안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intraocular pressure 와 혈중 luteinizing hormone,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estrone, estradiol, progesterone, testosterone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한 결과도 있으나, 혈중 progesterone의 경우 특히 임신중인 여성에서 안압과의 연관관계가 보고되었으며, 또한 폐경 여성에서 혈중 남성호르몬 농도가 높을수록 안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편 'Female sex'는 모든 종류의 백내장의 위험요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내장으로 진단받은 여성의 경우 호르몬 측정 시 연령 등을 보정하고도 폐경기에 가까운 호르몬 수치를 보였으며, 이들 백내장 환자군내에서는 estradiol과 FSH 농도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 또한 DHEAS의 경우 백내장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그 기전으로 전구호르몬인 DHEA의 역할을 제시되고 있는데. 즉 백내장의 주요 기전 중 하나인 oxidative stress를 감소시키는 antioxidant activity를 DHEA가 보이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호르몬은 망막 내 혈관의 흐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안구 내 혈류에서 여성호르몬의 긍정적인 효과와 남성호르몬의 부정적인 효과가 보고되었고,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의 경우, estradiol이 ER-β 수용체를 통해 보호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ER-β 수용체가 향후 AMD 치료에서 치료적 target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DHEAS의 경우 AMD 위험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당뇨로 진단받은 환자에서는 혈중 testosterone 농도는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진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호르몬은 안과영역의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관계는 아직 추가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나 다양한 성호르몬이 안질환의 발생 및 경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관관계가 규명된다면 추후 호르몬을 통해 질환의 경과 및 예방의 가능성이 제시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폐경 이후 다양한 안질환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고려 시, 안과영역에 있어 폐경기 여성호르몬 치료의 긍정적인 역할에 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Sex and its tropic hormones influence the lacrimal system, corneal anatomy and disease, aqueous humor dynamics and glaucoma, crystalline lens and cataract, and retinal disease. Dry eye occurs especially frequently during pregnancy, oral contraceptive use, and after menopause, during which androgen levels decrease. Androgen control development, differentiation, and lipid production of sebaceous glands throughout the body, and androgen deficiency also leads to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evaporative dry eye. On the other hand, estrogen causes a reduction in size, activity, and lipid production of sebaceous glands. Sex and its tropic hormones also influence the corneal anatomy and disease, and corneal thickening occurred on the second day of the menstrual cycle and around the time of ovulation and appeared to be related to estrogen levels. Fuchs' dystrophy is more commonly seen in postmenopausal women than men and may be linked to hormonal changes that occur with aging. In addition, over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in the conjunctiva of vernal keratoconjunctivitis patients. Serum progesterone levels also may be associated with intraocular pressure especially in pregnant women, and for the women. For women with cataracts, hormone levels were typical of menopaus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stradiol and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levels. In addition, serum testosterone levels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iabetic retinopathy. Although the role of sex hormones on the eye is largely unknown, and the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until replicated, the functions of sex hormones in ocular disease remains to be investigated, because they may be involved i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cular components, which are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of ocular disease.

키워드 : 성별, 성호르몬, 안질환, 안과생리, Gender, Sex hormone, Ocular disease, Ocular physiology

교신저자 : jyhsyk@snu.ac.kr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