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임학회의 첫 사업으로 1973년 가을 제 1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기로 하였으나 제반 준비가 지연되는 관계로 제 1차 학술대회는 1974년 1월 31일 가톨릭의과대학에서 심포지움 형식으로 개최되었으며 연제 및 연사는 다음과 같다.
제1차 학술대회(1974)
제2차 학술대회(1974)
1974년 12월 11일, 가족계획연구원에서 개최되었으며 처음으로 일반연제 (17편)가 발표되었다.
심포지움 "Fertility Control"
1. 피임방법의 원리에 대한 개요
정순오(연세의대)
2. 생식억제물질의 생물학적 기작
조완규(서울문리대)
3. 정로재개
이희영(서울의대)
4. 젖소에 있어서의 불임증의 원인
오수옥(서울농대)
제3차 학술대회(1975)
1975년 12월 18일, 서울적십자병원에서 심포지움과 8편의 일반연제가 발표되었다.
심포지움 "Prostaglandins"
1. Syntheses, Metabolism and Assay
김승원(서울의대)
2. The Role of Prostaglandins in Reproduction
류경자(연세의대)
3. Clinical Use of Prostaglandins
이효표(서울의대)
4. Male Reproduction and Prostaglandin
채수응(경희의대)
제4차 학술대회(1976)
1976년 11월 30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강당에서 심포지움과 8편의 일반연제가 발표되었으며, 처음으로 외국학자 초청 특별강연을 가졌다.
A. 심포지움 "Infertility"
1. Chromosome incompatibility and Sterility
박은호(한양대), 강영선(서울대자연대)
2. Implantation and Pregnncy in the Ovariectomized Rabbit
권종국(서울수의대)
3. Surgical Treatment of Male Infertility
이희영(서울의대)
4. Hysterosalpingography
김희섭(이화의대)
5. Induction of Ovulation
정구윤(가톨릭의대)
4. Hysterosalpingography
김희섭(이화의대)
제5차 학술대회(1977)
1977년 9월 24일 고려의대 부속병원 회의실에서 심포지움과 외국학자 초청 특별강연이 있었고, 7편의 일반연제가 발표되었으며,
영화도 방영되었다.
B. 특별강연
Endocrinologic Aspects of Infertility
Dr. H. Oshima
Application of Prostaglandin F2α in Animal Reproduction
H. Wada(Okayama University)
C. 영화
- Experimental Animal Sex Behaviour.
제7차 학술대회(1979)
1979년 12월 20일, 서울대학교병원 C강당에서 심포지움, 특병강연이 있었으며, 13편의 일반연제가 발표되었다.
A. 심포지움 "Reproduction Endocrinology"
1) Neurohumoral Control of Pituitary LH and FSH Release
유경자(연세의대)
2) The Feed-back Mechanism of the Pituitary-Ovarian Axis
권종국(서울대 수의대)
3) The Possible Significance of Prolactin of Human Reproduction
이진용(서울의대)
4) The Inhibition and the Stimulation of Human Spermatogenesis
채수응(경희의대)
제8차 학술대회(1980)
1980년 4월에 춘계학술대회를 처음으로 시도하였으나 학원소요 때문에 실패하였다.
8차 학술대회는 1980년 12월 12일, 서울대병원 C강당에서 개최되었으며 춘계학술대회를 준비 하였던 세미나를 8차 학술대회 심포지움으로
하였다. 춘계학회는 1985년부터 심포지움 형식으로 시작되었으며, 1989년부터 공식적으로 춘계학술대회로 인정되어 불임학회 학술대회의
차수에 포함되었으며, 1999년 11월 현재 제38차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심포지움 "Sexual behaviour and response"
1) 심포지움 "Sexual behaviour and response"
김정만
2) Research in sexual response Ⅱ (생물)
미정
3) Female sexual response (산부인과)
배병주(적십자병원)
4) Male sexual response (비뇨기과)
이희영(서울의대)
5) Sexual behaviour in the separated, divorced, widened, and mental illness (정신)
정동철(서울의대)